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K-Heart 내과 의원이 소개하는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바로잡기
국내 연구진이 휴식 상태에서 측정한 심박수가 높을수록 만성질환인 당뇨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8313명의 2001∼2018년 자료를 활용, '안정시 심박수'와 그 변화량에 따른 당뇨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안정시 심박수란 충분한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1분간 뛰는 심장 박동수를 뜻한다. 성인의 정상 안정시 심박수는 약 60∼100bpm(beats per minute)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녀 모두 안정시 심박수가 정상 범위 이내라도 80bpm 이상이면 60∼69bpm일 때보다 당뇨 위험이 약 2.2배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년 간격의 반복 추적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심박수가 5bpm 이상 감소할 경우 남자는 약 40%, 여자는 약 20% 당뇨 위험이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안정시 심박수가 5bpm 이상 증가한 경우 여자는 당뇨 위험이 약 1.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렇게 남녀 간 서로 다른 양상을 확인한 것은 이번 연구가 최초라는 게 국립보건연구원의 설명이다. 박현영 원장은 "본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첫걸음으로 안정시 심박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당뇨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해 필요하다"며 "안정시 심박수가 높거나 여성에서 안정시 심박수가 많이 증가하는 경우 당뇨의 위험 신호가 될 수 있으니 건강 검진 등을 통해 미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지(Diabetes & Metabolism Journal)'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출처 : ehealth@e-health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