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3K Talk


K-Heart 내과 의원이 소개하는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바로잡기

심장질환자 한해 183만명…5년간 20%↑

국내 사망 원인 2위인 심장질환 환자 수가 지난해 총 183만명을 넘어 2018년보다 20%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2018∼2022년 심장질환 진료 현황 분석 결과 환자수가 2018년 152만9537명에서 지난해 183만3320명으로 19.9%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기간 진료비는 1조8329억원에서 2조5391억원으로 38.5% 급증했다. 성별로 따지면 남성 환자 수(작년 105만4345명)는 23.2% 늘었고, 이들의 연간 총진료비(작년 1조655억원)는 41.8% 증가했다. 여성 환자 수(작년 77만8975명)와 진료비(작년 9336억원)는 이 기간 각각 15.6%, 33.2%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심장질환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80대 이상(15.47%)으로, 모두 34만9035명이었다. 그다음으로는 70대(13.53%), 60대(7.37%) 순이었다. 조사 기간에 연령별 인구 대비 심장질환자 비율이 늘었는데, 특히 30대 이하에서 이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대의 경우 2018년 해당 연령대의 인구 대비 환자 비율이 0.33%(2만2802명)였는데, 작년에는 0.47%(3만215명)로 커졌다. 환자 수가 32.5% 급증한 것은 물론, 인구 대비 환자 비율도 크게 높아졌다. 10대 환자 수도 1만210명에서 1만3153명으로 28.8% 늘었으며, 인구 대비 환자 비율도 0.2%에서 0.28%로 높아졌다. 젊은층의 심장질환자 증가는 인스턴트식품, 가공식품 등의 섭취가 많아진 식생활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전체 심장질환자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허혈성심장질환 환자는 2018년 91만122명에서 작년 102만7842명으로 12.9% 증가했다. 작년 총진료비는 1조2425억원으로, 25.7% 늘었다. 허혈성심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진료 추이를 분석한 결과, 협심증 환자는 6.0%, 심근경색증 환자는 19.6% 증가했다. 부정맥질환 환자는 지난해 46만3천538명으로, 2018년보다 25.0% 증가했다. 연간 총진료비는 61.6% 늘어 지난해 3천992억원을 기록했다. 심평원 하구자 급여정보분석실장은 "심장질환 환자는 대부분 50대 이상이지만, 10∼20대에서 환자 비율이 가장 많이 높아졌다"며 "40∼60대에는 허혈성심장질환, 10대와 20대, 70세 이상은 기타 심장질환에 따른 사망률이 높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요법 등으로 꾸준히 건강을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 ehealth@e-healthnews.com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