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K-Heart 내과 의원이 소개하는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바로잡기
국내 연구진이 10년 새 65세 이상 신규 당뇨병 환자가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조사돼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은 최근 원내 내분비내과 윤재승·김규호 교수팀이 숭실대 한경도 교수팀과 함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지원을 받아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약 260만 명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임상 및 역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 65세 이상에서 처음 당뇨병 진단을 받은 신규 환자는 2011~2012년 10만 명에서 2019~2022년 22만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년 이상의 장기 당뇨병 환자도 30만 명에서 80만 명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 노인 당뇨병 환자의 75% 이상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 만성질환을 동반했다. 치매, 심부전, 만성콩팥병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노인 당뇨병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은 말기신부전, 치매, 암, 폐렴 등으로, 당뇨병이 없는 노인보다 해당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50~15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 관리를 위해 단순한 혈당 조절을 넘어 유병률이 높고 사망 위험이 큰 동반 질환까지 포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약제 사용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노인 당뇨병 환자는 평균 9개 이상의 약제를 복용했고 이는 당뇨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 2배 많은 수치였다. 특히 20개 이상의 약제를 복용하는 노인 당뇨병 환자 비율이 5.5%에 달했다. 아울러 65세 이후 처음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 중 67.8%는 진단 후 첫 1년 동안 의료진 지시에 따라 정확히 약제를 복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말기신부전, 치매, 독거노인, 고위험 음주자 등은 약물 복용 순응도가 현저히 낮았다. 윤재승 교수는 "노인 당뇨병 환자는 다약제 복용, 동반 질환, 인지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보다 정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며 "초고령화 사회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의료 부담이 급증하는 가운데, 이번 연구가 노인 당뇨병 환자를 위한 최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당뇨와 대사학 저널(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게재됐다. 출처: ehealth@e-health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