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3K Talk


K-Heart 내과 의원이 소개하는 잘못 알려진 건강상식 바로잡기

"PCI 환자 상완-발목 맥파속도로 심혈관 질환 예측"

국내 연구진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은 환자의 상완-발목 맥파 속도로 동맥경직도를 측정해 심혈관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은 최근 원내 순환기내과 김학령·조현승·임우현 교수팀이 2012년 4월~2020년 11월 의료 기관을 방문해 약물 용출 스텐트(DES)로 시술받은 환자 중 40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은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예후 개선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그 시술 건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해서도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 발견하고 집중 치료하는 것이 핵심이다. 흔히 동맥경직도가 관상동맥질환의 예후 인자인 것은 알려진 바 있으나, 동맥경직도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임상 결과 예측에서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상완-발목 맥파 속도를 퇴원 직전과 1개월 후 각각 측정하고 3개월마다 환자의 심장사, 급성 심근경색, 관상동맥 재혈관화와 허혈성 뇌졸중 등의 발생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평균 연령은 62세였고 112명의 환자(27.7%)가 여성이었으며 평균 5.3년 동안의 추적 기간 중 65건(16.0%)에 달하는 심혈관 사건이 발생했다. 시술 1개월 후 맥파 혈류 속도(baPWV, 1,560±305에서 1,530±318 cm/sec; P<0.001)와 수축기 혈압 대비 맥파 혈류 속도의 비율(baPWV/SBP, 13.0±2.2에서 12.2±2.0 cm/sec·mmHg; P<0.001)은 기준치와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게 감소했고 수축기 혈압(SBP, 119±15에서 125±16 mmHg, P<0.001)은 다소 증가했다. 교란 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한 다변량 Cox 회귀 분석에서 baPWV 변화 자체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관련이 없었으나(P>0.05), baPWV/SBP이 증가한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baPWV/SBP가 감소한 환자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위험비, 2.25; 95% 신뢰 구간, 1.37–3.69; P=0.001). 김학령 교수는 "baPWV/SBP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위험 계층화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수치의 증감 원인을 더 구체화하고 치료 전략을 고안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유럽고혈압학회 공식 학술지인 '고혈압 저널(Journal of Hypertension)'에 개제됐다. 출처 : ehealth@e-healthnews.com, e헬스통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