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동맥경화


글쓴이 고광곤

동맥경화 자체의 증세보단 합병증인 허혈성심장질환, 뇌졸중 등에 의해 진단받게 된다. 1. 정의 동맥경화(죽상경화)의 기본 형태학적 특징은 죽종(atheroma) 형성으로서 지질의 국소침착과 혈관내피의 융기이다. 따라서 그 발생기전이 무엇이든 합병증의 결과로 혈관의 내강폐쇄를 초래함으로써 중요 장기 및 조직의 국소 빈혈과 괴사를 수반하게 된다. 2. 원인 동맥경화는 동맥혈관 내에 나쁜 콜레스테롤의 대표격인 저밀도지단백 침착,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과 혈소판-내피 간의 상호 작용, 중막 평활근 세포의 증식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전형적인 죽종은 합병성 병변으로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초래한다. ① 석회화(calcification) ② 내막의 궤양화(ulceration) ③ 혈전 형성(thrombosis) ④ 내막 출혈(hemorrhage) ⑤ 동맥류(aneurysm) 형성 오늘날 동맥경화의 질병 과정에 관한 한 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설명이 없으며, 아마도 다원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즉 이에 관련된 요인을 간추려 보면, ① 동맥벽의 구조적 및 대사 특성 ② 혈역동학적 역할 ③ 혈액 성분 간의 역동학적 상호 작용 등이다. 위험인자는 동맥경화를 촉진시킨다. 주요 위험인자로는 ① 고혈압(hypertension) ② 고지혈증(hyperlipidemia) ③ 당뇨병 ④ 비만(obesity) 위 4가지가 함께 있는 경우를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 한다. ⑤ 흡연(smoking) ⑥ 고령 3. 검사 및 진단 비침습적 검사로는 맥파속도 검사, ankle-brachial index, 경동맥 및 상완동맥 혈관 초음파 검사, CT를 이용한 석회화 지수 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있다. 침습적 검사로는 CT, MRI, 혹은 전형적인 관상동맥조영술 등이 있다 4. 치료 원인별로 약물 혹은 피하주사 치료가 있고 침습적 치료로는 스텐트 삽입 중재 시술과 우회로 수술 등이 있다. 유전적 혹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 치료가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은 임상단계에 활용되지 않고 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