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 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예약전화 032 710 6638

예약전화 032 710 6638

당일 방문은 진료가 어려우니꼭 예약접수 부탁드립니다.

협심증·심근경색증


글쓴이 고광곤

1. 정의 심근허혈이란 심장근육으로의 혈액 및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말하며, 협심증은 심근허혈에 의하여 흉통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지만, 흉통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흉통이 없는 무증상인 경우는 당뇨병 환자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에 생긴 죽종판이 파열되면서 출혈과 동시에 혈소판이 응집하여 혈전을 형성하여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힘으로서 심근이 괴사하는 경우이다. 2. 동맥경화가 주요 원인이다. 동맥경화 촉진 주요 위험인자로는 ① 고혈압(hypertension) ② 고지혈증(hyperlipidemia) ③ 당뇨병 ④ 비만(obesity) 위 4가지가 함께 있는 경우를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 한다. ⑤ 흡연(smoking) ⑥ 만성콩팥병 ⑦ 고령 3. 임상적 양상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활동할 때 흉통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흉통 시간도 5분 이내로 짧음. 하지만, 이 때 제대로 허혈성심장질환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활동할 때 뿐 만 아니라 휴식할 때에도 흉통이 일어나고 흉통 시간도 점점 길어짐. 일반적으로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지 확실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도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육체적으로 과도한 운동이나 활동으로 인하여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 또는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4. 검사 및 진단 비침습적 검사로는 맥파속도 검사, ankle-brachial index, 경동맥 및 상완동맥 혈관 초음파 검사, CT를 이용한 석회화 지수 검사, 운동부하 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있다. 침습적 검사로는 CT, MRI, 혹은 전형적인 관상동맥조영술 등이 있다 5. 치료 협심증 치료는 크게 나누어 1) 금연 2)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약 등 위험인자 조절 약물 3) 항혈소판제 약물 4) 항협심증약이 있다. 고지혈증약 중 나쁜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스타틴이 제일 많이 쓰이고, 목표 수치까지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제티마이브, 혹은 피하주사제로 PCSK-9 단핵항체 혹은 인클리씨란 주사약을 병용한다. 스타틴 약물은 가장 효과적인 약물이지만 고용량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당뇨병의 발병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파이브리트 계통 혹은 오메가산이 사용된다. 항혈소판약으로는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 약이 사용된다. 항협심증 약으로는 이소트릴, 몰시톤, 바스티난, 니코란딜 등의 약이 사용된다. 급성심근경색증의 치료는 혈전용해제 주사 치료와 스텐트 삽입 중재 시술과 우회로 수술 등이 있다. 안정 증세를 보이면 약물로 위험인자들을 철저히 조절함으로서 재발을 막아야 한다.

목록